건강검진을 받고 나면 결과지가 우편 또는 온라인으로 전달됩니다.
하지만 결과지를 처음 받아본다면 용어나 수치가 낯설고, 해석하기 어려울 수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 결과를 쉽게 해석하는 법과, 온라인 조회 방법을 함께 정리해드립니다.
1. 건강검진 결과 온라인으로 조회하는 법
-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접속 (https://www.nhis.or.kr)
- [건강iN] 메뉴 클릭
- [건강검진결과 조회] 선택
-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로 로그인
- 연도별 결과지 확인 가능
✔ 결과는 보통 검진 후 2~3주 이내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모바일 앱 ‘더건강보험’에서도 확인 가능합니다.
✔ 모바일 앱 ‘더건강보험’에서도 확인 가능합니다.
2. 자주 헷갈리는 결과 수치 해석법
항목 | 정상 수치 | 설명 |
---|---|---|
혈압 | 120/80 mmHg 이하 | 높으면 고혈압 가능성 |
공복혈당 | 70~99 mg/dL | 100 이상은 당뇨 전단계 의심 |
총 콜레스테롤 | 200 mg/dL 이하 | 높으면 고지혈증 가능성 |
간 수치(AST/ALT) | 40 U/L 이하 | 높으면 간 기능 이상 |
체질량지수(BMI) | 18.5 ~ 22.9 | 23 이상은 과체중 |
3. 결과지에서 "주의" 또는 "재검" 표시가 있을 때
결과지에 아래 문구가 있다면, 다음을 참고하세요.
- “관찰 필요”: 수치는 정상이지만 경계에 있음 → 생활습관 관리
- “추가 검사 권고”: 병원 방문 권장, 해당 항목 다시 검사 필요
- “유소견자”: 이상 소견이 있음 → 병원 진료 필수
💡 병원 진료 시 결과지를 인쇄해 가면 도움이 됩니다.
일부 병원에서는 공단 결과 기반으로 추가 검사를 바로 진행할 수 있어요.
일부 병원에서는 공단 결과 기반으로 추가 검사를 바로 진행할 수 있어요.
마무리 정리
- 건강검진 결과는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조회 가능
- 혈압, 혈당, 간 수치 등 주요 항목은 수치 범위를 알고 보면 해석이 쉬움
- ‘재검’이나 ‘유소견’은 반드시 추가 진료 받는 것이 중요
다음 글에서는 실비보험 청구 방법 (건강검진 관련 항목 포함)에 대해 안내드릴게요.
간단한 검진이라도 청구 가능한 항목이 의외로 많다는 거, 알고 계셨나요?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검진 결과 받고 병원 어디로 가야 할까? (과목 선택법) (0) | 2025.03.31 |
---|---|
건강검진 받고 언제 밥 먹어도 될까? (수면내시경 후 식사 시간 & 추천 식단) (0) | 2025.03.31 |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 항목 총정리 (무엇을 얼마나 검사할까?) (0) | 2025.03.31 |
건강검진 실비보험 청구 가능할까? (+ 실손보험 청구 방법 총정리) (0) | 2025.03.30 |
집에서 간단하게!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 예약하는 법 (직접 해본 후기 포함) (0) | 2025.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