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정보

건강검진 결과 받고 병원 어디로 가야 할까? (과목 선택법)

by bboddo-miu 2025. 3. 31.

 

건강검진 결과지를 받았을 때, "이상 소견이 있습니다", "재검이 필요합니다"라는 문구를 보면 걱정이 앞섭니다.
그런데 더 헷갈리는 건 바로 “어느 과를 가야 하는지 모를 때”입니다.

 

오늘은 건강검진 결과 수치별로 어떤 진료과에 방문해야 하는지 정리해드릴게요!
불필요한 병원 방문을 줄이고, 정확한 진료를 받아보세요 :) 

 

✅ 검진 결과별 진료과 선택 가이드

검진 항목 이상 수치 추천 진료과 비고
간 기능 (AST/ALT) 40 U/L 이상 소화기내과 / 내과 간염·지방간·음주 영향 여부 확인
공복 혈당 100 mg/dL 이상 내분비내과 / 내과 당뇨 전단계 가능성
콜레스테롤 / 중성지방 200 이상 순환기내과 / 내과 고지혈증, 혈관 건강 체크
혈압 140/90 이상 가정의학과 / 내과 고혈압 진단, 약 복용 여부 확인
대장암 (분변검사 양성) 양성 반응 대장항문외과 / 소화기내과 대장내시경 필요
위내시경 결과 위염, 위궤양 등 소화기내과 추적 검사 및 약 처방
유방 촬영 결과 이상 소견 유방외과 / 영상의학과 초음파 추가 검사
자궁경부암 검사 ASC-US 이상 산부인과 정밀 검사(Pap smear 등)
✔ 대부분 내과(또는 소화기내과)에서 기초 상담은 가능합니다.
하지만 특화된 이상 수치라면 전문과를 찾는 것이 진단과 치료에 더 정확합니다.

 

✅ 자주 묻는 질문 (Q&A)

Q. 수치가 살짝 높을 뿐인데 병원에 꼭 가야 하나요?

A. 경계 수치라면 1~3개월 내 재검을 권유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높다면 반드시 병원 진료가 필요합니다.

Q. 그냥 아무 병원 가면 안 되나요?

A. 동네 내과에서도 진료는 가능하지만, 필요 시 전문 진료과로의 전과(전원)이 이뤄지기도 합니다.

Q. 대학병원 바로 가도 되나요?

A. 특별한 진단명이 없으면 **1차 병원**(내과, 가정의학과)에서 먼저 진료받는 것이 좋습니다.
대학병원은 예약이 오래 걸리고, 비용도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 진료 전 준비 꿀팁

  • 건강검진 결과지를 프린트해서 지참 (또는 모바일 캡처)
  • 현재 복용 중인 약 목록 미리 정리
  • 특별한 증상이 없더라도 이상 수치 중심으로 상담 요청

 

📝 마무리 요약

  • 검진 수치별로 추천 진료과가 다르다
  • 내과, 소화기내과, 내분비내과가 가장 많이 이용됨
  • 전문의가 있는 과를 선택하면 재검도 수월
  • 검진 후 병원 선택은 과잉 진료와 비용 낭비를 줄이는 핵심

 

건강검진은 단순히 ‘수치를 보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이후의 관리와 진료 선택이 훨씬 더 중요합니다.
잘 해석하고, 정확한 과를 찾아가야 불필요한 시간과 돈 낭비를 줄일 수 있어요.

 

누군가에겐 의무적으로 받는 검사일 수 있지만, 나중에 후회하지 않도록 꼭 건강 챙깁시다!